다이아몬드
금강석(다이아몬드)이란 이름은 금강석이 광물 가운데 강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정복하기 어렵다.'란 뜻의 그리스어 '아다마스'에서 유래되었다. 금강석은 순수한 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우 강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어 광물 중에서 가장 단단하다. 여러 지질학적 증거에 따르면 금강석은 지각 하부 200km 깊이에 서도 생성되며, 30억 년 전에 생성된 것도 있다. 금강석은 2000여 년 전에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주로 인도의 강변 자갈에서 나왔다. 1725년에 금강석이 발견된 브라질이 세계의 주요 금강석 생산지였으나, 1870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대량의 금강석이 발견되고부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세계의 주요 금강석 원산지가 되었다. 오늘날에는 20여 개 나라에서 금강석을 생산하고 있다. 최대 생산국은 오스트레일리아이며, 특히 공업용 목적으로 쓰이는 전 세계 금강석 수요량의 4분의 1을 공급하고 있다. 금강석은 빼어난 광택과 광채를 가지고 있으며, 브릴리언트 컷 방식으로 세공되었을 때 가장 아름답다.
유명한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는 매우 아름답고 드물어서 그 값이 아주 비싸다. 다이아몬드 가운데는 오랜 역사를 담고 있는 것도 있고, 환상적인 전설에 얽혀 있는 것도 있다. 이들 대부분은 부자나 이름난 이들의 소유물이다.
블루 호프(Blue Hope)
호프 다이아몬드(Hope Diamond)는 45.52캐럿이며, 인도에서 황무지를 경작하던 농부에 의해 발견된 이후 프랑스 왕실의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 등 여러 소유자를 거치다가, 1830년 아일랜드의 헨리 호프가 소유하게 되면서 호프 다이아몬드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호프 다이아몬드는 소유자들이 살해되거나, 고문을 당해 죽거나, 자살하거나, 익사하거나, 정신이상을 일으키는 등 수많은 희생자를 낳은 다이아몬드이다. 이렇게 이 보석은 '불행을 가져오는 보석'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세계 4대 다이아몬드 중 하나로 현재 미국의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리전트(Regent)
자색의 리전트 다이아몬드(Regent Diamond)는 140.64캐럿이며, 1698년 인도의 콜러 광산에서 발견됐다. 1701년 인도 마드라스의 총독인 토마스 피트가 보석상으로부터 이 다이아몬드 구입하면서 피트(Pitt) 다이아몬드라도고 불린다. 여러 소유주를 거쳐 1717년 프랑스 왕실 소유가 되었다. 나폴레옹 1세는 이 다이아몬드를 칼자루 끝에 달고 다녔다고 한다. 1887년부터 현재까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피렌체(Florentine)
약 2,000년 전에 인도에서 최초로 발견된 피렌체 다이아몬드(Florentione Diamond)는 137.27캐럿의 황색의 다이아몬드이다. 인도, 포르투갈, 이탈리아를 거쳐 오스트리아의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의 소유가 되었고,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 마리 앙투아네트가 프랑스 루이 16세와 결혼하면서 혼수품으로 프랑스에 가져왔다. 그 후 나폴레옹의 부인인 마리 루이즈, 오스트리아 황후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를 거쳐 오스트리아 황후 지타 황후가 마지막 소유주가 되지만, 1918년 오스트리아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멸망 이후 자취를 감췄다. 4대 다이아몬드 중 유일하게 행방이 묘연하다.
상시(Sancy)
은백색의 상시 다이아몬드(Sancy Diamond)는 55.23캐럿의 담황색 다이아몬드이다. 인도에서 산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605년 당시의 소유주인 상시가 영국의 제임스 1세에게 이 다이아몬드를 판매하면서 현재의 이름을 얻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이아몬드를 소유했던 영국 왕실이 1688년 명예혁명에 의해 몰락하고, 그 후 소장자인 프랑스 왕실의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가 프랑스 대혁명기간 중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지는 등 소유자들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했다. 상시 다이아몬드는 1906년 윌리엄 월도프 애스터가 구매한 후 그의 손에 있다가, 애스터의 아내에 의해 루브르 박물관에 기증되어 1978년부터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R > 결정과 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주석 (0) | 2023.01.22 |
---|---|
강옥 (0) | 2023.01.22 |
석영 (0) | 2023.01.21 |
산업에 이용되는 결정 (0) | 2023.01.20 |
식별, 성장, 정벽 (0) | 2023.01.20 |
댓글